국가지도집 3권 2021
한국인의 전통적인 주거 양식은 마을의 위치와 분포, 가옥의 구조를 통해 잘 드러나고 있다. 한국의 전통적인 마을의 위치는 뒤로는 산이 위치하고 앞으로는 넓은 들과 하천이 있는 배산임수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산지가 많은 지형적 특성상 많은 마을들이 구릉과 낮은 산지에 분포하고 있다. 또한 농업 위주의 경제 활동으로 인해 마을과 논밭이 하나의 생활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마을 뒤편의 산지는 땔감과 다양한 용도의 목재를 제공해 주는 곳이었으며 겨울철 매서운 북서풍을 막아 주는 역할도 하였다. 마을 앞쪽의 개울이나 하천은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때문에 주거지를 고르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인이었다. 이러한 한국 전통 마을은 전국의 곳곳에 여전히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특히 전통적인 모습을 그대로 간직한 마을은 중요민속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한국의 전통 마을은 친족으로 구성되는 경우도 많았고, 마을 내부에서는 유교적 전통이 공동체를 유지하는 기본 원리가 되었다. 이러한 한국의 마을을 대표하는 고유의 건축물은 한옥이며, 오래 전에 지어진 한옥과 함께 근대 이후에 지어진 한옥도 소중한 문화유산으로 보존되고 있다. 대도시의 곳곳에서도 한옥 마을을 찾아볼 수 있다. 한옥은 한민족 고유의 기술과 양식으로 지은 건물을 의미하고, 자연과의 조화 속에서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로 지어졌으며, 한국 고유의 미적 감각 등을 반영한 문화유산이다. 또한 고유의 난방 기술과 통풍 방식 등을 한옥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한옥은 대부분 나무를 사용한 목조 건축이며, 농촌 지역을 비롯해 전국에 걸쳐 한옥을 찾아볼 수 있다. 또한 한옥의 건축 양식을 응용한 현대적 건축도 이루어지고 있다. 과거 유교적 신분 사회에서 집은 때로는 사회적 지위나 경제적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었으며, 양반 계층의 대표적인 가옥인 기와집과 서민층의 주택인 초가집이 전통적인 마을을 구성하고 있었다. 신분과 경제적 능력에 따라 다양한 가옥이 분포하고 있지만, 이들 가옥 모두는 기후와 인간의 상호 작용을 잘 보여주고 있다. 겨울이 길고 추운 북부 지방에서는 외부의 출입을 최소화하는 가옥 구조가 발달하였고, 덥고 습한 남부 지방은 공기의 순환을 최대화하는 대청마루 등이 발달해 있다. 또한 추운 겨울을 나기 위한 온돌과 같은 난방 구조도 한국의 전통 가옥의 특징 중 하나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