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도집 3권 2021

고령자 가구와 미성년자 가구

prevnext

가구의 변화에 있어 1인 가구의 증가와 더불어 고령자 가구의 증가와 미성년자가 있는 가구의 감소 또한 중요한 변화이다. 65세 이상 고령자가 있는 가구는 2010년 407만 가구에서 2020년 587만 가구로 44% 증가하였다. 2010년 23.5%이던 고령자 가구 비율은 2020년 28.0% 로 증하였으며 2020년 기준 전남은 고령자 가구의 비율이 39%에 이른다. 또한, 고령자만 있는 가구, 고령자 1인 가구의 비율은 각각 14.2%와 7.9%에 달해 고령자 가구에 대한 지원 체계가 요구된다. 전국 시 〮군 〮구 중에서는 41개의 시 〮군 〮구가 고령자가 있는 가구 비율 50%를 상회하고 있으며, 대도시와 수도권 지역이 고령자가 있는 가구 비율이 낮다. 하지만 이런 도시 지역 역시 고령자가 있는 가구 비율이 급속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성년자가 있는 가구는 국가적으로는 미래 세대가 커가는 터전이다. 미성년자가 있는 가구는 2016년 557만 가구에서 2020년 495만 가구로 11% 감소했으며, 2016년 28.7%이던 미성년자가 있는 가구 비율은 2020년 23.6%로 급감하였다. 5세 미만의 영유아가 있는 가구는 감소 폭이 더 커서 2016년 206만 가구에서 2020년 169만 가구로 18% 감소했으며, 영유아를 키우는 가구 비율은 2016년 10.6%에서 2020년 8.1%로 감소하였다. 출산 장려 정책 등을 시행하고 있지만 여러 사회 · 경제적인 요인에 의한 출생자 감소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가구와 가구원의 변화 역시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미성년자가 있는 가구 비율은 고령자가 있는 가구 비율과 대체로 반대의 경향을 보인다. 2020년 현재 전국 229개 시 〮군 〮구 중 무려 117개의 시 〮군 〮구는 미성년자 있는 가구 비율이 20% 미만으로 5가 구 중 1가구 미만에서 미성년자가 거주하고 있으며, 6개 시 〮군 〮구에 서는 미성년자가 있는 가구 비율이 10% 미만이다. 반면 미성년자가 있는 가구 비율이 30% 이상인 시 〮군 〮구는 18개 시 〮군 〮구에 지나지 않는다.

한편, 가구를 대표하며 가계의 생계책임자인 가구주는 1990년에는 30대, 40대, 50대 순으로 많았으나, 2020년 기준으로는 50대, 40 대, 60대 순으로 많고 70세 이상 가구주가 30대 가구주보다도 많다. 이는 평균 수명이 길어지고 고령자의 사회 활동이 활발해졌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가구주 중 여성의 비율은 1990년 15.7%에서 2020년 32.7%로 높아져 여성의 사회 활동 증가를 반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