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도집 2권

기후 변화와 동·식물

prevnext

 우리나라는 기후 변화로 인해 온난화와 강수량 증가가 지속되고 극한 기후의 발생 빈도와 강도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로 인해 생물 다양성 전반에 걸친 종 분포, 조성 등이 변하고, 외래 침입 병해충 확산과 생태계 교란 등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기후 변화 생물 지표란 기후 변화로 인해 계절 활동과 분포 지역, 개체군의 크기 변화가 뚜렷해질 것으로 예상되어, 종 자체를 지표화한 생물종들이다. 2010년 국립생물자원관은 기후 변화가 한반도 생물종 분포에 미치는 영향과 취약성을 효율적으로 감시하고 예측하는 방법을 마련하기 위해, 100종의 국가 기후 변화 생물 지표를 선정 발표했다. 여기에는 척추동물 18종과 무척추동물 28종, 식물 44종, 균류와 해조류 10종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2015년부터 주변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거미류를 추가 지정하여 기후 변화에 따른 생물학적 또는 생태학적 특성 변화를 지속해서 관측·기록·분석하고 있다. 더불어 이 종들의 변화상을 효과적으로 관측하기 위해 국민 참여 생물 다양성 관측 네트워크를 2011년부터 운영해 오고 있고, 전문 연구 기관과 시민 과학자, 동호회 등과 함께 한반도 생물 다양성의 변화 관측과 보전을 위해 활동 중이다. 2015년 현재 각 분야 30개 단체가 네트워크 내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AP-BON(Asia Pacific Biodiversity Observation Network), GEO BON(Group On Earth
Observations Biodiversity Observation Network) 등 국제적 생물 다양성 프로그램과도 협력하고 있다.

 온난화와 빈번한 극한 기후 현상으로 인하여 한반도 생물 자원의 기후 변화 적응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이런 현실을 고려하여 기후 변화가 한반도 생물종 분포에 미치는 영향과 취약성을 보다 과학적으로 분석·평가하기 위한 미래종 분포 예측 연구가 진행 중이다.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널(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의 미래 기후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국가기후 변화 생물 지표와 후보 대상 종에 대하여 기후 변화 민감 생물의 미래 분포를 예측하고 서식적합성 지도를 구축하는 연구 또한 진행되고 있다.
  참식나무와 후박나무, 발풀고사리는 제주도를 포함한 남부 지방에서 흔히 보이는 우리나라의 대표적 난대 상록성 식물이다. 이러한 난대성 식물의 경우 최근 가속화되는 온난화로 인하여 한반도 전체로 분포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상록성 식물들의 생육지 확대는 기존의 온대성 식물들과의 심각한 경쟁을 유발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향후 한반도 생물 다양성 피해 저감을 위해서는 이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과 함께 장기적인 미래 예측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기후 변화지표 종의 선정 기준을 마련하고 및 동아시아 생물 다양성 기후 변화 적응 정책을 수립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