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전선 이북의 3개 아구를 제외하고, 구계 분석을 통하여 선택된 식물군은 그들의 분포 범위에 따라 5개 등급으로 구분한다. 이렇게 정리된 식물구계학적 특정 식물은 환경을 평가할 때 객관적이고 정성적 접근을 가능케 하며, 식물의 특성과 보호 그리고 서식처 보전의 우선순
위를 정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Ⅴ등급은 극히 일부 지역에만 고립하여 분포하거나 불연속으로 분포하는 특성을 가지는 분류군이다. 총 256개 분류군으로 너도양지꽃, 암매(돌매화나무), 한란, 삼백초, 개가시나무, 파초일엽, 물고사리, 순채, 매화마름, 개느삼, 진노랑상사화, 섬개야광나무, 섬시호, 작은황새풀, 무등풀, 바위솜나물, 문주란, 구름떡쑥 등이 있다.
Ⅳ등급은 한 아구에만 분포하는 분류군이다. 총 384분류군으로 나도양지꽃, 회리바람꽃, 금강초롱꽃, 도깨비부채, 섬오갈피나무, 밤일엽, 떡조팝나무, 매미꽃, 날개현호색, 꽃꿩의다리, 털긴잎모시풀, 우산물통이, 왕느릅나무, 바늘명아주, 끈끈이주걱 등이 있다.
Ⅲ등급은 총 2개의 아구에 분포하는 분류군이다. 총 316분류군으로 비비추난초, 꽃창포, 연영초, 두루미꽃, 물옥잠, 갯쇠돌피, 쥐방울사초, 앉은부채, 산오이풀, 털머위, 아왜나무, 개박달나무, 털괴불나무, 자주꽃방망이, 백리향, 구상나무 등이 있다.
Ⅱ등급은 모든 식물 아구에 분포하지만, 1,000m 이상의 산지에 나타나는 특성을 갖고 있어 일반적으로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분포한다. 총 135분류군으로 다람쥐꼬리, 속새, 동의나물, 조록나무, 고려엉겅퀴, 백작약, 큰앵초, 눈개승마, 흰대극, 황벽나무, 당개지치, 큰참나물, 지리대
사초, 손바닥난초 등이 있다.
Ⅰ등급은 3개의 아구에 걸쳐 분포하는 분류군이다. 총 167분류군으로 봉의꼬리, 관중, 쥐방울덩굴, 투구꽃, 피나물, 시무나무, 나도물통이, 붉가시나무, 번행초, 노란장대, 갯까치수영, 세잎꿩의비름, 야광나무, 섬꽃마리, 올괴불나무, 일월비비추 등이 있다.
식물의 분포는 지형, 기후 등 여러 환경 요인과 각 식물이 가지고있는 분산 능력 등에 따라 결정된다. 지역별로 식물상 고유성이 유사하면 같은 식물지리학적 범주로, 다르면 다른 식물지리학적 범주로 구분한다. 이렇게 나누어진 식물의 분포 지역을 식물구계(floristics)라고 한다. 한반도의 식물구계는 학자들마다 차이를 보여, 한반도 전체를 한국-일본 남부 식물구계로 구분하는 경우와 백두산을 포함한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만을 한국-일본 식물구계로 구분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한반도의 식물구계는 북한 지역의 3개(관서, 갑산, 관북) 아구를 포함, 8개(제주도, 울릉도, 남해안, 남부, 중부, 관서, 갑산, 관북)의 아구로 구분한다.
한반도에서는 식물은 4,338분류군이 생육하고 있으며, 5개 아구에 약 3,300분류군이 자생하고 있다. 중부 아구에는 왜솜다리, 황철나무, 등대시호, 날개하늘나리 등 1,000여 분류군이 생육하고, 남부 아구에는 노각나무, 히어리, 매미꽃 등이 1,300여 분류군이 생육한다. 제주도
아구에는 남방계 식물 녹나무, 담팔수, 소귀나무 등 2,000여 분류군이 생육하며, 울릉도 아구에는 큰연령초, 큰두루미꽃, 왕호장근 등 700여 분류군이 생육한다. 북부 지역의 관북, 갑산, 관서 아구에는 가문비나무, 배암나무, 왕죽대아재비, 시베리아쑥, 산석송 등 약 3,000여 분류
군이 자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