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도집 1권

산업 구조와 공간

prevnext

   산업 구조 변화는 일반적으로 농림·어업, 광업 및 제조업, 서비스업 및 기타의 비중 변화를 통해 살펴본다. 여러 가지 지표를 사용할 수 있지만, 부문별 취업자 수 변화를 통해 살펴보면, 1960년대 이래 농림·어업의 지속적인 감소, 광업 및 제조업의 증가와 감소, 서비스업 및 기타 부문의 지속적 증가로 나타난다. 이와 같은 농림·어업 비중 감소와 제조업 비중 증가의 산업 구조 변화는 다른 나라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특징적인 것은 이러한 변화가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되었다는 점이다. 선진국들이 몇백 년 동안 겪은 변화를 우리나라는 본격적인 산업화를 시작한 지 30여 년의 기간 동안 겪었던 것이다. 이에 한국의 산업화는 압축 성장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1985년과 2012년의 지역 내 총부가가치 변화를 통해 시·도별 산업 구조를 살펴보면, 모든 지역에서 27년 동안 총부가가치의 성장을 볼 수 있다. 특히 경기도의 급성 장을 파악할 수 있는데, 1985년 서울 63조 원, 경기도 27조 원으로 서울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던 것이 2012년 226조 원, 224조 원으로 거의 비슷한 정도로 상승했다. 모든 지역에서 농림·어업의 비중 감소가 나타났고, 광역 시는 제조업 비중 감소와 서비스업 및 기타 부문의 비중 증가가 특징적이다. 경기도, 충청북도, 충청남도는 제조업 비중 증가가 두드러지게 나타나서 수도권 남부에서 충청도로 이어지는 제조업 성장을 보여 주고 있다. 서울은 서비스업 및 기타 부문이 95.5%, 제주도는 81.3%를 보이면서 서비스업 중심의 산업 구조 변화를 나타낸다. 

  한국 경제의 급성장은 제조업이 주도하였는데, 이에 한국의 산업 발전은 제조업의 발전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제조업 부문별 총부가가치 변화를 살펴보면, 1970년대 초반 섬유 의복과 음식료 등 경공업 비중이 높았던 것에 비해 지난 40여 년간 금속 기계, 전기 전자, 운송 장비 등 부문의 비중 증가가 두드러졌다. 이것은 우리나라의 제조업이 기술 집약적 첨단 산업 부문으로 중심이 이동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입지계수는 지역의 산업 특화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대표적인 지수 중 하나로, 특정 산업의 전국 점유율에 대한 지역 점유율의 비중(종사자의 수 기준)을 나타낸다. 대개 입지계수가 1 이상이면 해당 산업이 특화된 것으로 본다. 제조업은 크게 경공업과 중화학 공업으로 구분되는데, 경공업은 음식료, 섬유 의복, 목재 및 인쇄, 고무 및 플라스틱 제품, 가구, 기타 제품 제조업이 포함된다. 중화학 공업은 펄프 및 종이 제품, 석유 및 화학제품, 의약품, 비금속 광물, 1차 금속 및 금속 가공 제품, 전기 전자, 기계, 자동차 및 운송 장비 제조업 등이 포함된다. 첨단 기술 산업과 지식 집약 서비스는 OECD의 첨단 기술 제조업 정의와 지식 집약적 시장 서비스업의 정의를 따라 구분하였다. 첨단 기술 산업은 화학제품, 의약품, 전기 전자, 정밀 기기, 자동차 및 운송 장비 제조업 등이 포함되고, 지식 집약 서비스는 출판, 영상, 방송 통신 및 정보 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을 의미한다. 산업은 전반적으로 경부축을 중심으로 발달했는데, 특히 중화학 공업과 첨단 기술 산업은 수도권 남부와 남동 임해 지역을 중심으로 집중도가 뚜렷이 나타난다. 한편 지식 집약 서비스는 서울 강남 지역의 집중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