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도집 3권
근대 이후 우리나라는 급변하는 국제 정치적 환경 속에서 민족적 고난을 겪기도했고, 동족상잔과 분단이라는 아픔을 견뎌 내야 했다. 그러나 대한민국은 이러한 역경과 고난을 극복하고, 경제 성장과 민주화를 성공적으로 이루어 냈다. 일제 강점기와 6·25 전쟁을 거친 후 1인당 국민 소득이 67달러로 세계의 최빈국 중 하나였던 대한민국은 전 세계 경제 규모 15위, 무역 규모 세계 8위의 경제 강국으로 성장하였다. 정치적으로는 법치 제도, 민주적 선거 제도와 정당 정치를 정착시켰으며, 지방자치제도의 실시로 지방 분권 시대를 열어나가고 있다. 국민의 삶의 질 분야에서도 대한민국의 발전은 눈부시다. 1960년 52.4세였던 기대 수명은 2012년 81.4세로 높아졌으며, 전 국민 의료 보험 제도와 다양한 사회 복지 제도를 통해 복지 사회의 이상을 실현해 가고 있다. 이와 같은 성장의 배경에는 적극적인 산업 정책과 더불어 교육에 대한 투자가 자리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문맹률이 0%에 가깝고, 고등 교육 기관에 진학하는 비율은 약 70%이다. 이러한 정치ㆍ경제ㆍ사회적 성취는 대한민국 국력의 성장으로 이어졌으며, 성장된 국력을 바탕으로 우리나라는 국제 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 세계 평화와 국제 협력에 기여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유엔 비상임이사국으로서 뿐만 아니라 다양한 국제기구에서 세계의 기대에 부응하는 책임 있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1970년대 이후 여러 국제기구를 통해 각종 국제 협력 사업을 수행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