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도집 2권 2020

4대강 보 수문 개방 및 물 환경 변화

prevnext

 2008년에 시작되어 2012년에 완성된 4대강 사업에 의해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에 총 16개의 보가 설치되었고, 수변 공원과 자전거 길 등 다양한 휴식 공간이 마련되었다. 하지만 하천의 생태 단절로 인해 수생태계가 크게 변하였고 퇴적물 축적에 따른 하상 변화가 나타났다. 게다가 하천 경관이 심하게 훼손되었을 뿐만 아니라 매년 반복되는 녹조 발생과 수질 악화 등 환경 문제 또한 크게 대두되었다. 이에 일부 구간에서 지속적인 환경 모니터링과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 졌고, 2019년 2월 민 〮관 공동 4대강조사 〮평가기획위원회에서는 환경성, 경제성 뿐만 아니라 이수 〮치수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금강과 영산강에 설치된 5개 보의 처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현재 대통령 직속 국가 및 4대강물관리위원회에서는 금강과 영산강의 자연성 회복을 위한 보 처리 방안에 대한 최종 결정을 준비하고 있다.

 

 금강에서는 3개 보(세종보, 공주보, 백제보)에서 2011년부터 다각적인 조사 및 분석을 통한 물 환경 변화 모니터링 사업이 추진되었다. 이 조사는 보 설치 이후에 물고기 집단 폐사(2012년), 큰빗이끼벌레 창궐(2014년), 퇴적물 내 4급수 지표종인 실지렁이 및 깔따구 유충 발견(2015년) 등 수생태계가 악화되는 현상들이 나타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와 같은 다양한 환경 문제가 발생됨에 따라 환경부의 4 대강 자연성 회복을 위한 조사 〮평가단에서는 2017년부터 4대강에 설치된 보를 개방하기 시작하여 보 개방에 따른 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보 개방에 따른 가장 큰 변화로는 유속 증가와 체류 시간 감소, 그리고 이에 따른 조류의 큰 감소를 들 수 있다. 특히, 하천 퇴적물에는 그 동안 발견되었던 실지렁이와 깔따구 유충 등은 사라지고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할 정도로 모래와 자갈 비율이 높아졌을 뿐만 아니라 오염도 또한 상당히 개선되었다. 하천에는 모래톱이 다시 생성되고 노출 퇴적물에 식생이 빠르게 자라는 등 자연성 회복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가장 먼저 개방된 세종보의 하류에서는 4대강 사업으로 인해 지난 10년간 자취를 감췄던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 흰수마자가 발견되기도 하였다. 반면, 보 개방 이후 2년간 수질 지표는 크게 개선되지 않았는데 이는 강수량 및 상류 오염원 유입 등 외부 변수에 따른 영향으로 판단되며, 보 개방에 따른 수질 변화를 명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