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도집 2권 2020

지형 특성

prevnext

 한반도의 지형 분류 결과를 보면, 저위 산지(26.2%), 중위 산지 (22.1%), 저위 평지(18.5%), 고위 미경사지(10.7%)가 전 지역의 77.5%를 차지한다. 100㎢당 지형 다양성의 평균값이 2.78(표준 편차 0.95)로 동아시아 평균값인 2.27(표준 편차 1.06)에 비해 높다. 하지만, 지역 내의 차이는 상대적으로 작은 특징을 보인다.

 

 한반도와 연해주 지역의 시호테알린, 중국의 남부(화남), 일본 그리고 타이완을 비교하면 타이완의 경우, 고도와 경사도 모두 다른 지역들에 비해 월등히 높다. 나머지 네 지역의 평균 고도는 시호테알린 (507.0m) > 한반도(448.5m) > 일본(390.9m) > 중국 남부(312.8 m) 의 순으로 낮아지고, 경사도는 한반도(5.7 °) > 일본(5.4 °) > 시호테알린(5.2 °) > 중국 남부(5.0 °)의 순이다. 지형의 다양성을 보면 중국 남부(3.0) > 일본(2.9) > 한반도(2.8) > 시호테알린(2.6)의 순으로 낮아 진다.

 

 한반도는 평균 고도와 평균 경사도 모두 일본과 중국 남부보다 높지만, 경사도의 국가 내 변화가 가장 적다. 즉 높은 경사도가 상대적으로 균등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차이는 한반도의 경우 저위 산지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일본과 중국 남부는 저위 미경사지와 중위 산지의 분포 비율이 한반도에 비해 높기 때문이다. 즉, 일본과 중국 남부는 산지와 평지의 구분이 비교적 명확해 서 국가 내 경사도의 변이가 크지만, 한반도는 그러한 경사의 급격한 변화가 상대적으로 적다.

 

 동아시아 전체와 비교한 한반도의 지형적 특징은 첫째, 한반도는 대륙적인 규모에서 나타나는 북동 - 남서 방향의 지형 특성을 따르면서도 이와는 직각으로 교차하는 북북서 - 남남동 방향의 지형 구조가 나타난다. 이러한 지형 특성은 동아시아의 전체적인 지형 구조의 영향하에서 동해가 만들어지면서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고도는 높지 않지만 복잡한 지형의 구조적 특징을 지녀 상대적으로 경사 가 급하고 지형이 다양하다. 이러한 지형 특성은 시호테알린산맥과 중국 남부로 연결되어 나타난다. 셋째, 한반도는 다른 지역에 비해 산지와 평야의 경계가 비교적 불명확하게 나타난다. 이것은 한반도에 비교적 완만한 지반 운동이 있었고, 하천에 의해 만들어진 충적 평야의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이다.

 

 한반도의 고도는 0 - 2,744m 사이이며, 100m 이하의 면적이 27.8%를 차지한다. 300m 미만의 고도 지역은 전체 면적의 52%에 해당하며, 1,600m 이상인 지역은 5%에 불과하다. 전체적으로 고도가 높아질수록 분포 면적이 감소한다.

 

 300m 미만의 저고도 지역은 해안과 평야 지대를 따라 분포하며, 300 - 1,000m 고도 지역은 북한과 남한의 산지에 주로 분포한다. 1,500m 이상을 차지하는 지역은 북한의 백두산과 개마고원 일대에 집중 분포하며,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에서는 산정부에서 일부 나타난다. 경사도의 분포를 보면 10° 미만의 지역이 36%를 차지하며, 10 - 25°의 경사도를 이루는 지역은 44%를 차지해 가장 넓은 면적 분포를 보인다. 25 - 45° 지역은 20%, 45° 이상 지역은 0.3%에 해당한 다. 완경사 지역은 대부분 해안에 분포하며, 일반적으로 고도가 높아 질수록 경사도 또한 높아진다. 하지만 백두산 지역은 전체적인 고도가 높은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용암 대지가 넓게 분포하여 경사도는 낮다.

 

 반경 7km 원 안의 최대 고도와 최소 고도의 차이를 계산하여 얻어진 지형 기복량은 0 - 968m 사이이며, 한반도 평균값은 226m이다. 한반도의 대부분은 500m 미만의 기복량을 보이며, 이는 전체의 98%에 해당한다. 500m 이상의 기복량을 보이는 지역은 2%에 불과하며, 함경 · 낭림 · 태백 · 소백산맥의 산정부에 분포한다. 100m 간격으로 기 복량을 구분했을 때, 200 - 300m의 기복량을 보이는 지역은 26%를 차지하여 가장 넓은 분포 면적을 보이며, 900 - 1,000m의 기복량을 보이는 지역은 1%에 미치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