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도집 2권 2020

수문의 역사

prevnext

 벼농사는 신석기 시대에 전래되어 청동기 시대에 들어서면서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널리 보급되었다. 벼농사에 대해 언급된 최초의 문헌인 『삼국사기』를 보면 백제 다루왕 6년(A.D. 33년)에 논(도전)을 국가적으로 만들게 하였다는 것을 볼 때, 삼국 시대에는 벼농사가 본격적으로 발달하면서 안정적인 농업용수 확보가 중요해졌던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하천의 제방이나 배수로의 축조는 물론, 물이 많을 때 물을 가두어 두었다가 필요할 때 사용하는 저수지의 축조가 국가 사업으로 진행되었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신라 일성왕 11년(A.D. 144년) 왕명으로 제방 축조와 전야 개척을 명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으며, 신라 흘해왕 21년(A.D. 330년)에 축조된 김제의 벽골제, 삼한 시대에 축조된 제천의 의림지와 밀양의 수산제는 우리나라 고대 치수 사업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외에도 삼국 시대에는 영천 청제, 울산 약사동 제방 등의 저수지 및 수로 시설이 축조되었다.

 

 고려 시대에는 995년(성종 14년)에 수리 행정을 위하여 우수부를 설치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며, 12세기 부터 수리 시설 관련 기록이 많다. 고려의 수리 시설은 보, 제언, 하거, 방조제 등으로 내륙의 묵정밭(오래 내버려 두어 거칠어진 밭)이나 연해 지역의 개간, 도서 지역의 개발이 활발히 추진되면서 기존 시설 증축이나 신규 축조가 이루어졌다. 또한, 고려 시대의 제언 중 규모가 큰 것으로 양산 지역의 황산언(12세기 초 축조 추정)이 있다.

 

 농업을 중시하는 조선 시대에 이르러서는 치수 관련 사업과 수리 행정이 크게 발달하였다. 1395년(태조 4년)에 권농관 제도를 두어 제언(댐) 축조를 권장하였으며, 1419년(세종 1년)에는 제언대장을 2부 만들어 비치하였고, 이후 제언사라는 관청을 창설하여 댐 시설의 전반적인 업무를 관장하도록 하였다. 『동국문헌비고』에는 1782년에 조사한 전국 제언(댐)의 총수가 3,378개소에 달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 중 대부분은 삼남 지방(경상도, 전라도, 충청도)에 분포하고 있다.

 

 일제 강점기에 일본은 우리나라를 대륙 침략의 병참 기지로 삼고 수자원 개발을 위한 댐을 건설하였다. 북부 지방에서는 주로 중화학 공업을 위한 전기 생산 목적으로 댐을 건설하였고, 남부 지방에서는 쌀 생산 증대를 위한 치수 목적으로 댐을 건설하였다. 일제 강점기 동안 일본의 주도로 한반도 북부 지역에 건설된 댐은 총 30개로, 그중 발전용 댐이 25개였으며 관개용 댐이 5개였다. 남부 지역에 건설된 댐은 총 135개이며, 대부분이 관개용 댐이었고, 생공용수 댐 7개, 그리고 발전용 댐 3개가 있었다. 이 중 대규모 댐들은 대부분 1940년 이후에 건설되었다. 이 댐들은 유역의 종합 개발 차원의 댐 건설이라 기보다는 지역적으로 필요에 의해 건설된 것이었다.

 

 일제는 1910년대 초반부터 식량 문제 해결과 군량미 확보를 위한 목적으로 본격적인 하천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5개의 주요 하천을 2차에 걸쳐 조사하여 하천 개수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1928년에는 『조선 하천 조사서』를 발행하였다. 또한, 댐 건설을 위한 기초 자료로 1911년부터 1945년까지 세 번에 걸쳐 전국 포장 수력 조사 사업을 실시하였다. 조선 하천 조사서를 바탕으로 1925년에 만경강, 재령강, 1926년에 한강, 낙동강, 대동강 등의 하천에 개수 공사를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하천 공사는 주로 제방 축조나 수제 공사 등 대부분 치수 목적으로 이루어졌으며, 하천 직강화 공사도 포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