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도집 1권  2019

교통의 발달

prevnext

 1960년대부터 교통 하부 구조의 건설이 빠른 속도로 이루어졌으며, 주요 국가 기간망인 고속국도, 철도, 공항, 항만 건설이 이루어졌다. 주요 산업이 경부축을 중심으로 발달하였고, 이러한 영향으로 주요 교통망 건설도 서울-부산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1970년 경부고속국도의 개통으로 전국이 ‘일일생활권’이 되었고, 이후 2004년 경부고속철도가 개통되면서 ‘반나절 생활권’이 가능해졌다.

 

 국민 소득이 향상되면서 1980년대 후반부터 승용차가 급증하였다. 1966년 2만 대에 불과했던 자동차 등록 대수가 1990년 200만 대를 넘었고 2016년에는 1,730만 대를 돌파하여 인구 1,000명당 자동차 등록 대수가 335대를 넘어서게 되었다. 이에 도로의 수요도 급증하여 고속국도를 비롯한 도로 건설이 가속화되었다.

 교통은 1960년대 이후 수출 산업화 정책을 통한 급속한 경제 성장과 더불어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에 상당한 발전을 거듭해 왔다. 이러한 모습이 국토 공간 구조에 투영되어 수도권과 경부축 중심의 지역 성장 구조로 나타나게 되었다. 1955년 철도 운영권이 대한민국 정부로 이관된 후 디젤 기관차 및 전철의 도입과 지속적인 철로 복선화 사업을 추진하였고, 2004년 경부고속철도 개통에 이르기까지 철도 교통의 현대화가 추진되었다.

 

 도로 교통의 본격적인 발달은 1970년대 경부고속국도의 건설을 중심으로 한 주요 국가 기간 도로망의 건설로 시작되었다. 특히 1980년대 후반 이후 자동차의 급증으로 인한 도로 교통 수요의 증가로 지속적인 도로 건설과 개선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해상 교통은 국내보다는 해외 수송을 위주로 운용되고 있는데, 주요 항만이 남동부 해안에 위치한 것은 이 지역에 발달한 중화학 공업의 원료 수입 및 제품 수출과 관련이 크다. 1958년 김포공항이 개항하였으며 2001년 영종도에 인천국제공항이 개항하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였다.

 

 교통 접근성 지표는 각 지역 중심에서 버스터미널, 고등학교, 종합병원, 대규모 점포 등 여러 시설까지 대중교통 이용자의 평균 소요 시간을 측정한 것이다. 수도권 대도시에 비해 지방 농촌 지역에서는 이러한 주요 시설에의 교통 접근성이 낮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