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판 2022

패션과 문화

prevnext

1960년대 이후 섬유 산업은 한국 경제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하지만 최근 섬유, 의류 및 봉제 산업은 인건비가 낮은 국가로 집중하고 있으며, 세계화로 인해 국내 제조업체의 상당수가 중국이나 동남아시아로 이전하게 되었다. 노동력 중심의 경제 구조에서 기술 및 자본 위주 산업 구조로 재편한 결과 의류 산업은 쇠퇴하고 매년 많은 양의 의류 제품이 수입되고 있다. 한국에 수입되는 의류의 대다수는 중국이나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생산된 것이 많으며, 명품으로 대표되는 고가의 의류도 유럽 등지에서 수입되고 있다.

 

  과거 의류 판매는 주로 시장이나 백화점에서 이루어졌지만, 최근 의류의 구입 장소는 백화점, 전문점, 상설 할인 매장, 대형 마트, 전통 시장, 온라인 쇼핑몰 등으로 다양화되고 있다. 대도시 일부 지역에서는 고가의 의류가 판매되고 새로운 패션이 도입, 확산되는 쇼핑 거리 등도 등장하고 있다. 특히 전자 상거래가 늘어나고 있으며, 코로나 19로 인해 이러한 경향이 가속화되었다. 각종 인터넷 쇼핑몰 등에서 의류는 중요한 판매 품목이며, 관련 상품의 40% 이상이 전자 상거래로 거래되고 있다. 의류 및 패션 상품은 전자 상거래의 성장과 활성화에 매우 중요한 상품이 되었다.

 

  전 세계적으로 화장품 산업이 성장하고, 해외에서 한국 문화 및 상품을 접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며 한국의 화장품이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10여 년간 국내에서 화장품을 생산하는 업체는 10배 가까이, 생산액은 2.5배 정도 증가하였다. 화장품 수출은 빠른 속도로 증가해 온 반면 수입은 최근 들어 서서히 감소하고 있다. 이와 함께, 남성, 청소년, 영유아 등 다양한 성별과 연령대에서 화장품 사용 및 이미용업소 방문이 증가하면서 남성 전용 미용실, 어린이 전용 미용실 등 특정 성별 및 연령대에 특화된 이미용업소도 늘어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