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판

우리나라 고지도

prevnext

 우리나라 지도 제작의 역사는 삼국 시대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하지만 현재 남아 있는 지도는 조선 시대 이후의 것들이다. 현존하는 고지도 가운데 가장 오래된 지도는 1402년에 제작된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이다. 이 지도는 그 당시에 제작된 세계 지도 가운데 동서양을 막론하고 가장 뛰어난 세계 지도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 지도를 보면 우리나라의 영토가 아프리카 대륙보다 더 크게 그려져 있다. 이는 중국에 버금가는 문화 국가로서의 자부심이 반영되어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영토가 가장 명확하게 그려진 것은 조선 전도에서 볼 수 있다. 15세기에는 국토의 측량을 기초로 과학적인 지도 제작의 기틀이 마련되었다. 조선 전기의 대표적인 전도로 1530년 간행된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수록된 「팔도총도」를 들 수 있다. 이 지도는 지리지를 보완하는 부도(附圖)의 형식을 띠고 있어 수록된 내용이 간략하다.
  18세기 중엽에는 조선 후기 지도 역사에서 분수령이 되는, 정상기의 「동국대전도」가 제작되었다. 「동국대전도」는 약 42만분의 1의 지도로 백리척(百里尺)이라는 독창적인 축척이 사용되었다. 백리척은 100리(40km)를 1척으로 나타내는 축척 표기법이다.

 

 조선 시대의 영토는 고산자 김정호의 「대동여지도」에 이르러 완결된 형태로 묘사되었다. 「대동여지도」는 전국을 22층으로 나누고 각 층을 접어서 만든 22개의 지도첩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첩은 자유롭게 펼쳐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하면 몇 첩을 연결시켜 볼 수 있게 만들어졌다.


  전통적인 지도 제작은 1876년 개항과 더불어 새로운 전기를 마련한다. 교육용 교과서로 집필된 『대한지지』나 『대한신지지』에는 경위선 좌표 체계에 기반한 전도가 수록되어 있다. 특히, 장지연의 「대한전도」에는 당시 우리 민족이 많이 거주하고 있던 북간도가 우리의 영토로 그려져 있다. 우리의 영토를 그리고자 했던 이러한 노력은 우리 영토가 1910년 일본에 강제로 병합되면서 단절되었다.